
문희옥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8도 사투리 메들리로 유명했던 트로트 가수이다. 1969년 7월 27일, 강원도 삼척군 장성읍에서 2남 3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이후 학업을 위해 상경하였고,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은광여자고등학교에 재학했다. 고등학교 2학년인 1986년 당시 학교 장기자랑에서 가수 주현미의 "비 내리는 영동교"를 불렀는데 이 때 친구들의 반응이 좋자 문희옥은 가수의 꿈을 가지게 된다. 꿈을 가지게 된 이후 둘째 언니의 주선으로 작곡가 안치행 씨를 만나게 된다. 그 뒤 안치행 씨의 소속사 안타 프로덕션에서 1년 간 보컬 트레이닝을 받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3학년이 되던 1987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 사투리를 소재로 창작곡을 모은 를 발표해 가수로 데뷔하게 된다. 이 메들리 음..

차명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 17, 18대 국회의원이었으며 친박으로 분류된다. 1959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 용문고등학교, 서울대학교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진보정당인 민중당 서울특별시 구로구 갑 지구당 사무국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김문수 국회의원의 보좌관을 역임하였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손학규 경기도지사의 공보관을 역임하였다. 김문수가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지사에 출마하기 위해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한나라당 원내부대표를 역임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선출..

김정우는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교육자출신 정치인이다. 제20대 국회의원이며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지역구는 경기도 군포시 갑 지역이다. 정치 입문 전엔 기획재정부 국고국 계약제도과장으로 있었으며, 세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지냈다. 1968년 6월 18일 강원도 철원군에서 태어났다. 신철원종합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96년 행정고시 40회로 관직에 입문한 후,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등 행정 관료로서의 삶을 살았다. 관직 생활 도중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가장 마지막에 역임한 공직은 기획재정부 국고국 과장이었다. 2015년 세종대학교 교수로 임용되면서 학자의 길을 걸을 것처럼 보였는데, 2016년 국민의당이 생기며 잇따른 의원들의 탈당 러..

윤영찬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며 기업인출신 정치인이다. 문재인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이다. 전라북도 전주시 태생이지만 어릴때 서울로 이주했다. 영등포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2008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했으며, 노조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정치부 기자 시절 노태우 대통령의 4,000억 비자금 폭로 특종으로 1995년 한국기자상을 수상한 바 있다. 2008년 네이버로 들어가 뉴스 편집과 대관 총괄 및 홍보 등을 맡았고 2016년 1월에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2017년 3월, 네이버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더문캠에 합류하였다. 이후 문재인의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SNS본부장으로 영입된 이후 문..

김세연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할아버지 김도근은 동일고무벨트 창업주이고 아버지 김진재는 김세연의 지역구인 금정구에서 5선 국회의원(11대, 13대~16대)을 역임하였다. 장인이 되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이종사촌형부이다. 김세연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뻘되는 셈이다. 1972년 부산광역시에서 아버지 김진재(2005년 작고)와 어머니 성효인의 무녀독남 외아들로 태어났다. 동래초등학교, 안락중학교, 금정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할아버지 김도근이 창업한 동일고무벨트에 입사하여 근무하였다. 정계 입문은 부친의 작고 이후 금정구 정가가 '공천헌금사건' 등으로 혼란에 빠지면서, 선친의..

오거돈은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교육인출신 정치인이다. 2018년 6월 13일 6.13 지방선거에서 더블어민주당 소속 으로 부산시장에 당선되었다, 부산광역시 정무부시장과 행정부시장, 부산광역시장 권한대행, 제13대 해양수산부 장관, 한국해양대학교 총장과 동명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했다. 2004년 재보궐선거를 시작으로 4번의 도전 끝에 7회 지방선거에서 민선 최초의 민주당계 부산광역시장이 되었다. 1948년 10월 28일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향토 철강기업 대한제강 설립자 오우영의 10형제 중 넷째로 태어났다. 1967년 당시 지역 최고 명문고였던 경남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고 1971년 제14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이후 30년간 공직에 몸을 담았다. 2001년, 안상영 시장 재임 당시 부산광역..

이팔성은 대한민국의 금융인이다. 전 우리금융지주 대표이사였으며 김승유,어윤대와 함께 고소영 라인이자 MB정부 '금융권 4대 천왕' 으로 꼽힌다. 나머지 1명은 강만수이다. 1944년 2월 2일 경남 하동군에서 태어났다.1963년 고려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고, 1967년 졸업했다. 1967년 한일은행에 입행한 뒤, 1999년 한빛증권 사장, 2002년 우리투자증권 사장을 맡으며, 38년간 우리은행, 우리금융 등에 몸담아왔다. 2004년 9월에는 금융계를 떠나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의 제의로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를 2년 반 정도 맡았다가, 이명박 정부 초기였던 2008년 초에 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 공모에 나섰지만 ‘MB맨’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낙하산 논란 속에 탈락했다. 당시 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이 된 이정..

마윈은 중국 기업인이다. 알리바바 그룹의 前 대표이사이자 회장이며 2017년 7월 기준 중국 최고의 부자이자 세계 18위의 부자이다. 포브스 표지에 최초로 실린 중국의 사업가이다. 고등학교를 다닐 때부터 영어가 능숙했다. 마윈은 '크레이지 잉글리시'로 유명한 리양(李揚)의 '두려움을 떨쳐버리라'는 말을 가슴에 품고, 만나는 외국인마다 말을 걸었다. 당시 그가 살던 곳은 항저우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은 시후(西湖)다. 1982년 고등학교에 졸업했지만 대학입시에 실패하고 곧바로 취업을 시작했다. 원래는 호텔 종업원을 노렸는데, 작은 키 때문에 퇴짜를 맞았다. 그렇게 몇몇 직종을 전전하면서 다시 대학입시에 도전했지만 수학 때문에 떨어졌다. 삼수생 때도 수학 때문에 전문대에 겨우 들어갈 실력이었지만, 마침 결원이..

주광덕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60년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사노리(현 구리시 사노동)에서 태어났다. 퇴계원중학교, 제1고등학교(현 강원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구리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윤호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민주당 윤호중 후보에게 설욕하였다. 이후 친박계에 속하였다. 2011년에 성범죄 벌금 100만원 이상시 영구히 교육공무원 임용을 불가능하게 ..
이상돈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며 법학자이기도 한 정치인이다. 20대 국회에서 국민의당 소속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게 되었다. 1951년 12월 4일 경상남도 부산에서 태어났다. 출생지만 부산이지 실제로 자란 곳은 서울이다. 6.25 전쟁 휴전 후 서울특별시로 재상경하여 4대문 안에 있는 종로구 체부동에서 살았다. 외조부는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인 춘곡 고희동이다. 고희동은 장면과 가까운 사이로, 1960년에 4.19 혁명 이후 치루어진 재보궐 선거에서 민주당으로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하였다.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부,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법대에 진학했지만 고시 준비는 적성에 맞지 않았는데 대학원에 가서 책을 읽으니 마음이 편해졌다고 한다. 대학 시절부터 타임즈지를 읽고 영어로 된 ..